보경사 寶鏡寺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중산리)내연산(內延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602년(진평왕 25)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대덕(大德)지명(智明)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지명은 왕에게 동해안 명산에서 명당을 찾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있을 때
어떤 도인으로부터 받은 팔면보경(八面寶鏡)을 묻고 그 위에 불당을 세우면 왜구의 침입을 막고
이웃나라의 침략을 받지 않으며 삼국을 통일할 수 있으리라고 하였다.
왕이 기뻐하며 그와 함께 동해안 북쪽 해안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해아현(海阿縣) 내연산 아래 있는 큰 못 속에 팔면경을 묻고 못을 메워 금당(金堂)을 건립한 뒤 보경사라 하였다.
723년(성덕왕 22)에는 각인(覺仁)과 문원(文遠)이 “절이 있으니 탑이 없을 수 없다.” 하고 시주를 얻어 금당 앞에 오층석탑을 조성하였다.
745년(경덕왕 4)철민(哲敏)이 중창하였고,
1214년(고종 1) 주지 승형(承逈:圓眞國師)이 승방 4동과 정문 등을 중수하고 종·경(磬)·법고(法鼓) 등도 완비하였다.
1677년(숙종 3)에는 도인(道仁) 등이 중창불사를 시작하여 1695년 가을에 준공하였으며, 삼존불상과 영산전(靈山殿)의 후불탱화도 조성하였다.
그때 초한(草閑)이 시주를 얻어 금당을 중건하였고 관음전은 도의(道儀)가, 명부전은 석일(釋一)이, 응향전(凝香殿)은 국헌(國軒)이,
향적전(香積殿)과 국사전(國師殿)은 학열(學悅)이, 열반당은 신특(信特)이,
국사전 정문과 사천왕각 및 식당은 비구니 총지(摠持)와 신원(信遠)이, 팔상전은 지총(志聰)이, 종각은 영원(靈遠)이 각기 분담하여 중건, 중수하였다.
또한, 그와 동시에 도인은 청련암(靑蓮庵)을 창건하고 탁근(卓根)은 서운암(瑞雲庵)을 창건하였다.
1725년(영조 1)성희(性熙)와 관신(寬信)이 명부전을 이건하고 단청하였으며, 성희는 괘불을 중수하였는데, 이때의 사세가 가장 컸다고 전한다.
1916년부터 1922년까지는 장욱(壯旭)이 많은 사재를 내어 전당(殿堂)과 탑을 중수하였고 홍수로 파손된 제방을 쌓았으며,
교량을 시설하고 전답을 사찰에 헌납하였다.
1917년 10월에는 태인(泰仁)이 명부전을 중수하였고, 1932년에는 대웅전과 상지전(上持殿)을 중수하였으며,
1975년 이후 약간의 단청불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비로자나불과 문수보살·보현보살을 모신 대적광전,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전,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사자를 탄 문수와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 16나한 등을 배열한 영산전,
석가모니의 팔상시현(八相示顯)을 나타낸 팔상전이 중심 당우로 자리잡고 있다.
이 밖에도 명부전·산신각·원진각(圓眞閣)·일로향각(一爐香閣)·동로각(東爐閣)·누각·수월당(水月堂)·
천왕문·일주문·원진국사비각·설산당비각(雪山堂碑閣)·창고 등이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52호로 지정된 보경사원진국사비와 보물 제430호로 지정된 보경사부도가 있으며,
조선시대 숙종이 이곳의 12폭포를 유람하고 그 풍경의 아름다움에 시를 지어 남겼다는 어필의 각판이 있다.
그 밖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3호로 지정된 오층석탑, 경상북도 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된 탱자나무가 있다.
부도로는 동봉(東峯)·청심당(淸心堂)·심진당(心眞堂) 등 11기가 있다.
현존하는 산내암자로는 동쪽 50m 지점의 청련암과 서쪽 100여m 지점의 서운암, 보경사 창건과 동시에 건립되었다는 문수암(文殊庵)과 보현암(普賢庵)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이 절의 주변에는 상태사(常泰寺)·성도암(成道庵)·계조암(繼祖庵)·내원암(內院庵)·대비암(大悲庵) 등의 유지가 있다.
2016. 7월 8일 밤 자정쯤
인천에서 먼 포항 내연산으로 가기 위해 무박 버스에 올랐다
자는둥 마는둥 설치다보니...포항의 월포하는 바닷가에 닿았고
일출이라는 언어만으로도 충분히 설레이는 시간...익숙한 태양의 승천을 바라보고
곧바로 보경사 주창에 도착했다
7시....경내는 조용하다 마치 우리가 첫 손님처럼 말이다
경내포스팅을 먼저할까 내연산을 먼저 오를까 망설이다가
더 힘든 산행을 먼저하고 휴식처럼 보경사 당우을 살펴보는게 났겠다 싶어서...
내연산 폭포순례를 하고 2시쯤 햇볕이 작렬하는 시간에 경내를 둘러 보았다
다른 사찰에 비해 경치가 수려하거나 건물이 화려하거나 ...웅장하거나 그렇지는 않고
평범해서 오히려 평범한 사찰이었다
웅장하거나 화려하면 괜히 조심스러워 발걸음이 조심스러운데
시골에서 평범하게 살아가는 엄마처럼 평범한 사찰 그래서 둘러보기 좋았는데
절간마당에 옹기종이 앉았는 많은 장독대에서 익어가는 장내사 폴폴 날아드니 시골 고향집에 온 느낌이었다.
산행이 좋은 이유는 명산아래는 늘 이렇게 반가운 사찰이 이방인을 문열어놓고 반기기 때문이기도 하다
내연산행을 위해 왔지만 산행초입에 얌전히 앉아 있는 보경사 경내를 편집해보고자 한다.
보경사 전각 배치도
보경사에는 중심 전각이 둘이 있다
적광전과 대웅전이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뒷쪽으로 팔상전과 산신각 원진각, 명부전 영산전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내연산 보경사 일주문
상가를 조금 지나 일주문이 있다
이른시각...동이 트는 시각에 보경사의 부처님의 기지개를 건너 보경사의 불심이 깃든 내연산 자락에 든다.
해탈문
속세를 버리고 불법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
해탈문 뒤로 수령이 오래된 노송들이 허러굽혀 사람을 반기다.
'꿈이 이루어지는 보경사'
갑자기 내 꿈은 뭐 였었지
어떤게 내꿈이 였지
갑자기....나는 뭐였지 라는 반문을 해본다
꿈이 떠오르지 않는 나,
나는 영혼없는 사람이었던가.
솔밭을 걸어가며 바라보는 보경사 경내
평탄한 지형에 경계를 이루는 담이 없고
경내가 넓게 바라보인다
문턱없는 절집 아무나 지나는 길에 마음 한자락 뉘였다가기 좋겠다.
천왕문
좌로부터 보경사, 천왕문, 내연산. 현판이 걸려 있다.
천왕문은
이건물은 보경사 경내를 수호하는 수무장격인 사천왕을 봉안한 곳이다.
사천왕이란 동서남북의 지국천왕, 증장천왕, 광목천왕, 다문천왕등 사천왕을 말한다.
이 사천왕은 인간들이 착한 일을 하면 즐거움을 주고 악한 일을 하면 고통을 주면 선신으로로서
불법으로 옹호하고 정도를 행하는 사람들을 보호한다.
이건물은 의민스님의 『천왕문중창상량문』(1761), 이종영『보경사사천왕문중건기』(1767)에 의하면
사천왕문은 1686-1688년에 처음 세워졌지만 낡고 좁아서 1726-1732년에 공사하여 1761년에 중건공사를 완공하였다.
육철, 승언 두스님이 중건공사를 주간하였고, 한규목조각장인 청원스임께서 조성하였다.
사천왕문 오른쪽으로 감로수가 있고 그 뒤로 스님들이 기거하는 전각들이 있다
넓은 마당에 눈에 쉬이 뛰는 곳에 위치한 감로수
오늘같이 뜨거운 여름날 산행을 하고 내려오다 꿀맛같은 물맛이 되겠다.
보경사내에 사찰업무를 보는 종무소
사천왕문으로 들어서면
액자같이 바라보이는 석탑
보경사 사천왕상
무섭다
죄를 지은 사람이 지나면 한방 내려칠것 같다
사천왕문을 나와서 석탑앞에서 들어온 길을 바라보며
석탑과 적광전
보경사 오층석탑
높이 5m.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단층 기단(基壇) 위에 5층탑신을 올린 일반형 석탑으로, 일명 금당탑(金堂塔)이라고도 한다.
수 매의 장대석으로 지대석(地臺石)을 구축한 후 단층기단을 놓았는데, 각 면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하나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새겨졌다.
상면에는 1매의 판석으로 구성된 기단갑석(基壇甲石)을 놓았는데, 상면을 경사지게 처리하였다.
갑석의 하면에는 각형 1단의 부연(副椽)이 있고, 상면에는 호각형(弧角形) 3단의 초층탑신 받침을 조출하였다.
기단 면석의 일부가 결실되어 1972년에 보수했다고 한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하였다.
탑신석에는 양 우주가 정연히 새겨졌는데, 초층탑신에는 내부에 자물통과 2개의 문고리가 양각된 문비형(門扉形)이 조식되었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매층 각형 3단의 옥개받침을 조출하였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탑신괴임대를 각출하고 있다.
낙수면의 경사는 비교적 완만한 데,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轉角)에 이르러 낮게 반전되고 있다.
탑신과 옥개석의 체감비(遞減比)가 적절하여 전체적으로 오층석탑에 걸맞는 고준함을 주고 있다.
정상에는 각형 1단의 부연이 있는 노반석(露盤石)과 복발(覆鉢)이 놓여 있다.
초층탑신에는 내부에 자물통과 2개의 문고리가 양각된 문비형(門扉形)이 조식되었다.
오층석탑과 천왕문
적광전
보경사 적광전(浦項 寶鏡寺 寂光殿)은
1990년 8월 7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54호로 지정되었다가, 2015년 3월 3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68호로 승격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다포식의 맞배지붕건물이다.
보경사는 신라 603년(진평왕 25)에 지명법사(智明法師)가 중국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창건한 절로,
종남산(終南山)을 등에 업고 좌우로 뻗은 내연산(內延山) 연봉에 기대어 아늑하게 배치되어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적광전·보제루·천왕문을 비롯하여 14동의 당우가 있는데,
적광전은 1677년(숙종 3)에 중건되었다. 외벌대로 아주 낮게 꾸민 기단 바닥에는 전(塼)을 깔고,
원좌(圓座)를 쇠시리한 방형의 주초를 놓았다. 두리기둥을 사용하여 우주(隅柱: 모서리기둥)의 안쏠림을 두었으며 특히 귀솟음이 현저하다.
하인방(下引枋)에는 화강석을 다듬어 고막이(터진 곳을 돌이나 흙으로 막는 일)를 대신하였다.
내외 이출목인 공포(栱包)는 끝부분이 비스듬히 절단된 앙서[仰舌]와 윗몸의 봉두 장식으로 외포를 장엄하였고,
내포는 교두형(翹頭形: 활이나 圓弧形으로 깎아낸 모양)으로 간략하게 처리하였다.
다포집임에도 일반적인 수법인 우물반자를 들이지 않고 5량가의 가구를 그대로 노출시킨 연등천장으로 하였다.
내부 공간의 지나친 상승감과 여백은 협간 상부에 보 방향으로 뜬 장여를 걸어 당초각 부재를 얹음으로써 완화하였고,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다. 전면은 창호로 개방하여 각 칸을 3분합 교살문으로 하고, 배면은 어간만 외여닫이문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건물은 우주의 안쏠림과 귀솟음이 뚜렷하고 석재를 쇠시리하여 고맥이 벽으로 사용한 점,
다포식 건물에 사용된 연등천장의 수법 등이 주목되며 대체로 건립 연대와 부합되는 재목다듬기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적광전은 보경사 경내의 현존건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며 특히 청옥으로 만들어진 주춧돌과 신방석, 고막이돌은 창건 당시 또는 그 이후의 신라시대 유구로 추정됨
적광전 내부의 삼존불과 후불도
주존불은 비로자나불이며 좌우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모신 삼존불이다.
적광전의 비로자나불상은 나무로 된 목책안에 봉안되었으며, 그안의 바닥에는 벽골이 깔려있다.
적광전 오층석탑
그리고 가운데 노송한그루가 정겹다
범종각
보광사 한켠 수월당앞에는 한여름에 주렁주렁 메주가 달려 있다
예전처럼 빚어서 만든 메주가 아니라 찍어낸듯한 메주인데
마당 가득 메주 익어가는 냄새가 진동을 하고 있다
절집과 메주...그리고 그 앞에 장독대 풍경이 좋아서 시간을 가장 많이 사용한 전각이다.
보경사 수월당앞 탱자나무
수령이 오래되어서 나무가 골당공증이 걸려있지만
잎은 짙게 푸르고 나이를 과시하며 탱자가 주렁주렁 달려있다.
높이 6m, 밑둥치의 둘레 103㎝이며 지상 40㎝에서 가지가 동서로 갈라져서 가슴높이의 둘레는 각각 50㎝, 55㎝이다.
수세는 흙돌담에 인접해 있는 것에 비하여 떨어지는 편이나 비교적 양호하다. 이 나무의 나이는 약 400년으로 추정된다.
탱자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그 열매는 약용으로 쓰이고 억센 가시가 있어 산울타리용으로 좋아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주로 심겨진다.
현재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충리와 사기리에 있는 것이 각각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고 있으나 나무의 크기나 둘레로 보아 이곳의 탱자나무에 미치지 못한다.
탱자나무와 장독대
고무신...
아뿔사 사진이 핀이 나갔다
그래도 고무신이 좋아서 남긴다.
보경사 나리꽃
장독대에 시간을 많이 사용하고 대웅전으로 향하는 길
노송과 대웅전이 위엄을 자랑하고 있다.
어느절집이나...오래된 나무가 그 절집의 세월을 품고 있기 마련이다
대웅전 옆에서 노승처럼 서있는 노송...그 아래에 앉아서 목탁소리를 듣고 싶은 여름이다.
스님 처소...수행하는 곳이니 당연히 출임금지
하필 깨진 기왔장에....
대웅전
경북 포항시 송라면 중산리 보경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
건물의 형식이나 세부 기법으로 보아 19세기의 전형적인 불전 형식을 따르고 있다.
처마는 겹처마로서 서까래와 부연(浮緣: 처마 끝에 덧 얹어진 짤막한 서까래)을 달아 지붕틀을 구성하였고,
네 귀의 추녀 밑에는 활주(活柱: 추녀 뿌리를 받친 가는 기둥)를 세워 처마의 처짐을 방지하였다.
건물 내부는 바닥에 마루를 깔았고 가운뎃 칸 뒤편에 불단(佛壇)을 놓고 삼존불상(三尊佛像)을 모셔 놓았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가구형식은 무고주7량가(無高柱七樑架)이다. 건물의 형식이나 세부 기법으로 보아 19세기의 전형적인 불전형식(佛殿形式)을 따르고 있다.
절집에 가면 기도가 많다
초파일기도
동지기도
백중기도 ........
마음과 행동을 가지런히 하여 늘 기도하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하나
세상의 이것저것 맛보고 살자니 마음이 늘 엉뚱하다
그래도 이렇게 절집을 스치노라면 한번씩은 마음을 정하게 고쳐먹기도 한다.
대웅전내부
건물 내부는 바닥에 마루를 깔았고 가운뎃 칸 뒤편에 불단(佛壇)을 놓고 삼존불상(三尊佛像)을 모셔 놓았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가구형식은 무고주7량가(無高柱七樑架)이다.
건물의 형식이나 세부 기법으로 보아 19세기의 전형적인 불전형식(佛殿形式)을 따르고 있다.
대웅전 뒷편의 '비사리구시'
부처임의 공양을 바련하는 절간 주방의 '구시'로 이 구시는 조선후기 보경상에서 나라제사때마다
많은 손님들의 밥을 퍼 놓는 그릇으로 사용되었다.
쌀 7가마(약4000명분)의 밥을 담았던 통으로 보경사의 명물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비사리구시 내부에 신도들이 두고가 돈
사람들은 절간의 모든 곳에 기도하기를 좋아한다
살아가는 동안 먹고 사는 것을 풍성하게 해달라고 기도하였을까
대웅전을 둘러보고 대웅전 뒤로 올라가면
좌로부터 팔상전 산신각 , 원진각, 명부전, 영산전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팔상전
팔상전은 석가세존의 일대생애을 시기적으로 여덟가지로 나누어 그것을 팔폭화면으로 그려모신전각이다.
팔상전 내부
이 팔성전에는 석가모니불을 가운데 주존으로 모시고 왼쪽에 미륵보살 바깥쪽에 제화가라보살을 모시고
양주변에 팔상탱화를 배열하였다
이전각은 조선 숙종3년(AD1678)에 지총스님에 화주하여 세웠다.
산령각
내연산의 산신과 시방법계의 산신을 봉안한 전각인데 산신은 보경사 경내를 수호하고 불법과 선행을 행하는
사람을 소호하는 선신이다.
이 전각은 원래 여기서 북쪽으로 100미터 산쪽에 있던 것을 AD1914년에 현장소로 이건하였다.
산령각내부
원진각
이전각은 당사 창건주 지명법사의 영탱과 원진국사의 등상을 모시고
그밖에 서산 사명대사와 당사에서 수도와 교화를 하시다가 입적하신 대덕스님들의 진영을 모신 전각이다.
이전각의 건립은 조선 숙종3년에 학열스님이 화주하여 세웠다.
원진각 내부
중창주 원진국사를 비롯하여 보경사를 거쳐간 스님들의 영탱이 모셔져있다.
영산전
영산전은 석가세존이 생존해 계실때 인도 영취산이란데서 제자들에게 설법을 많이 하셨는데 약하여 영산이라고도 한다.
이 영산전에는 가운데 석가세존 좌우에 사자를 탄 문수보살과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를 모시고 그 좌우로 16아라한을 배열하였다.
일명 십육나한전이라고도 한다.
주:아라한이란 소승의 교법을 수행하여 도를 깨달은 성자를 말한다.
영산전 내부
가운데 석가세존 좌우에 사자를 탄 문수보살과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를 모시고 그 좌우로 16아라한을 배열하였다
명부전
명부전은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이 다음 생을 받기전에 이 세상에 있을때 행한 선악간의 행위를 심판받아
새로운 몸을 받데 되는데 그 심판하는 관부를 형상화한 것으로서
중앙에 지장보살 좌우에 도명존자, 무독귀양, 그리고 그 좌우로 십대왕르모신 전각이다
일명 십왕전,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이 건물은 조선 숙종3년(AD1678)에 건립하였다.
명부전내부
중앙에 지장보살 좌우에 도명존자, 무독귀양, 그리고 그 좌우로 십대왕르모신 전각이다
일명 십왕전,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명부전과 원진국사비
원진국사비(浦項 寶鏡寺 圓眞國師碑)
보물 제252호
보경사에 있는 고려 중기의 승려 원진국사의 탑비이다.
원진국사(1171∼1221)는 13세에 승려가 되어 명산을 두루 돌아다니며 수도를 하기도 하였고,
왕의 부름으로 보경사의 주지가 되었다.
51세로 입적하자 고종은 그를 국사(國師)로 예우하고, 시호를 ‘원진’이라 내리었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운 간결한 모습으로, 비몸 윗부분의 양 끝을 접듯이 잘라 놓았는데,
이러한 모습은 당시에 유행하던 양식이다.
넓다란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거북받침돌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
에는 6각형의 무늬마다 ‘왕(王)’자를 질서정연하게 새겨놓았으며,
등 중앙에는 연꽃을 둘러 새긴 네모난 받침대를 조각하여 비몸을 끼워두게 하였다.
비몸의 둘레에는 덩굴무늬가 장식되어 있는데 이 역시 고려 중기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비문에는 원진국사의 생애와 행적이 기록되어 있으며,
글은 당시의 문신이었던 이공로가 지었고, 김효인이 글씨를 썼다.
비문에 의하면, 비가 완성된 것은 고종 11년(1224)으로 원진이 입적한 지 3년 후의 일이다.
명부전에서 바라본 대웅전
명부전 뒷편 담의 모습
다시한번 팔상전 산신각 원진각 영산전 명부전의 사진을 담아본다
돌을 쌇아 올리고 그 위에 일자로 전각을 배열한 모습이 이사찰의 특징이다
누가 두고 갔는지...
절집마다 동자승의 인형들이 있게 마련이다
나무아래 편안한 자리에 앉혀 두었다.
대웅전 단청
대웅전에서 .....한컷
대웅전 전각뒷편의 벽화
보경사 대웅전의 풍경소리
절집마다 풍경의 모양은 제각각이다
물고기 모양이 대부분이지만 보경사 풍경은 소박한 종모양이다.
바람한줄기 지나간다면 저 풍경소리 들을수 있을텐데
무더위에 바람도 자나보다...
풍경소리를 못듣고 절집을 나선다.
대둥전 뒷편의 전가을 돌아보고 내려오는 길
다시보아도 좋은 노송
가끔은 절집에 와서 전각보다 이런 고목에 마음이 더 가는 경우가 많다
너무 거하지도 않고 작지도 않은 아담한 노송...
보경사의 마음을 저 노송에서 찾고 가는 것 같다.
그리 크지 않은 보경사 경내를 1시간여 돌아보고 나서는 길
솔밭 풍경이 칠월의 더위를 식혀준다
스님들고 불법 공부를 하시다가 저 솔밭을 바라보노라면 더위가 싸악 살아질 것 같다.
보경사를 돌아보고 나오는 길 해탈문 근처 비각
근대에 절을 크게 중창한 설산 장욱스님의 비각
보경사를 다 둘러보고 집에가는 길.
일주문을 나서면 또다시 절을 있고 살아가는 일만 생각한다.
일주문을 들어서고 다시 나서는 일이 수없이 이루어졌지만
나는 속세의 생활이 아름다운 일반사람.....잠시나마 마음을 경건히 먹었던 것으로 행복하게 생각하려 한다.
'photostory-寺'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10.1. 토 양양 휴휴암 (0) | 2016.10.05 |
---|---|
2016.9.3.토. 계룡산 갑사 (1) | 2016.09.03 |
2016.5.14. 석가탄실일 황룡사 (0) | 2016.06.06 |
2016.5.15. 일요일 칠갑산 장곡사 (0) | 2016.05.15 |
2015.12.6. 부처의 나라 불국사 (0) | 2016.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