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한쪽 비워둔다면

photostory-寺

2015.12.12. 파랑새는 어디로 갔을까?...강진 무위사

kyeong~ 2016. 1. 5. 01:24

 

 

 

 

 

 무위사無爲寺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월출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헌강왕 1)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효공왕 9)선각(禪覺)이 3창하였다.

 

1407년(태종 7)무위사가 천태종(天台宗) 17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 1555년(명종 10)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이때의 당우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그 뒤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 당우는 최근까지만 해도 극락전·명부전과 요사채 뿐이었으나 1678년(숙종 4)에 극락전 앞에 괘불대를 조성하였고, 1739년(영조 15)에는 해초(海超)·극잠(克岑) 등이 전각을 보수하였다.

 

1975년 벽화보존각(壁畵保存閣)과 해탈문(解脫門)·봉향각(奉香閣)·천불전(千佛殿)·미륵전(彌勒殿) 등을 중건하였으며, 1991년에 산신각을 짓고 1995년에 동쪽 요사를 증축하여 오늘에 이른다. 이 중 극락보전은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벽에는 29점의 벽화가 있었으나 지금은 본존불 뒤의 가로 4m, 세로 7m 크기의 후불탱화만이 남아 있고, 28점은 보존각에 보관되어 있다.

 

이 벽화들은 법당이 완성된 뒤 찾아온 한 노거사(老居士)가 49일 동안 이 안을 들여다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 그렸다는 전설이 있다. 49일째 되는 날, 주지가 문에 구멍을 뚫고 들여다보니 파랑새 한 마리가 입에 붓을 물고 마지막으로 후불탱화의 관음보살 눈동자를 그리고 있었는데, 새는 인기척을 느끼고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지금도 후불탱화의 관음보살상에는 눈동자가 없다.

 

이 밖에도 선각대사변광탑비(先覺大師遍光塔碑)는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어 있고, 그 옆에는 석탑형식을 취한 보기 드문 부도가 있는데, 선각대사변광영탑(先覺大師遍光靈塔)으로 명명되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6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미륵전 안에는 고려 말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입상이 있다.

    

 

 

 

주차장에서 바라본 무위사

 

① 극락보전 ② 미륵전 ③ 산신각 ④ 천불전 ⑤ 선각대사편광탑비
⑥ 3층석탑 ⑦ 벽화보존관 ⑧ 종각 ⑨ 해탈문 ⑩ 안내판
⑪ 화장실 ⑫ 불교용품 판매점 ⑬ 종무소 ⑭ 화장실 ⑮ 요사체
우물 요사체 명부전

 

월출산 무위사 입구인 일주문

 

 

월출산 무위사 현판

 ‘달빛 아래 첫 마을’인 월하마을에 있는 무위사(無爲寺)에 다다랐다.

파랑새, 예서 달빛 등에 업었으리라.

 

 

주차장 앞 공원의 나무들은 다른 고찰에 비해

쓸쓸하고 외로웠다.

그래서 일주문도 덩그러니 으스스하였다.

일주문을 지나면 왼쪽에 찻집이 차향을 흘러보내고 있다.

 

사천왕문

주변이 썰렁하여 서둘러 경내를 향하여 올랐다.

사천왕문에 짧은 합장을 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절집에 들어설라치면

두눈 무섭게뜬 사천왕상이 무서워 짧게라도 합장을 하고 경내로 들어서게 된다.

 

 

사천왕상

 

 

보제루

대웅전으로 오르는 길은

극락의 하늘로 오르는 것과 같다고 했다

그래서 계단이 많다고 한다.

 

허리를 낮추고 겸허하게 오르라고

누각 밑을 통하여 극락전으로 오른다.

 

근래에 세운듯...

극락전을 가리고 있어 조금은 답답하고

오래된 아름다움을 간직한 극락전과 근래의 보제루...

과거와 현재를 보는듯하다.

 

 

경내에서 바라본 보제루

 

보제루普濟樓는?

절에 따라 만세루(萬歲樓)·구광루(九光樓)라고도 하나,

 두루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에서 보제루라는 명칭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사찰 중심 불전의 정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대체로 모든 법요식(法要式)은 이곳에서 행하고 있다.

 

 

보제루옆 종각이 있는 요사채를 바라보며

아기자기하게 쌓아올린 돌축대를 찍어본다.

 

 

극락보전

국보 제13호

 

화려하지도 않고

규모도 아담하다

달빛처럼 은은한 향기가 묻어나는 노란벽면의 사찰이다.

 

1934년 일본에 의해 국보 제13호로 지정됐다.

다행히 우리 정부가 1962년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하면서 세월은 극락보전의 치욕을 덜었다.

극락보전은 1983년 몸을 해체, 복원하면서 탄생사가 밝혀졌다. 중앙 칸에서 명문이 발견됐다.

조선초 1430년(세종 12)에 효령대군이 지은 것이다.

 

 

 단청하나 없는 밋밋한 저 전각이 국보13

극락전 내부에는 사진 촬영이 금지 되어 있어서 홈페이지에서

발췌를 했다.

 

 

 

아미타삼존불도

 

후불벽화(後佛壁畵)로 그려진 아미타삼존도.

흙벽에 채색. 210 × 270 cm. 1476년 작. 후불벽화로 그리기 위하여 따로 세워진 벽면에 그려졌다.

구도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앞의 좌우에는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배치하고 뒤쪽으로

6명의 나한(羅漢)을 배치하여 원근감을 표현하였으나

상하로 구분하는 2단구조의 고려 불화나 16세기의 조선 불화와도 다른 것이다.

 

아미타불의 뒤에 표시된 광배(光背)의 모양은 키를 연상케 하는 것으로 15세기부터 사용되었다.

 착의법(着衣法)은 고려 후기의 단아양식(端雅樣式)을 계승한 것이며,

가슴 아래까지 올라온 군의(裙衣)의 상단을 주름잡아 고정시킨 매듭끈을

대좌(臺座) 좌우로 길게 드리운 것은 조선 초기의 특징이다.

 내용상에서도 변화가 있다.

 

곧 고려시대의 삼존형식에 자주 등장하던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대신

지장보살이 배치된 것은 고려 후기의 신앙대상의 변화를 말해주고 있다.

화기(畵記)에 의하면 아산현감을 지낸

강노지(姜老至) 등 수십명의 시주로 혜련(海連) 대선사 등이 그렸다 한다.

 

 

극락보전 아미타삼존불좌상(보물 제1312호)

아미타여래삼존불도(국보 제313호)

▲극락보전 삼존불. 후불탱화가 국보다.

 관음보살님 눈만 점안하지 못하고 떠난 파랑새는 어디로 날아갔을까.

 

 

 

 

수월관음벽화

 

 

불벽(後佛壁) 뒷면에 그려진 수월관음벽화.

아미타삼존 후불벽화와 같은 시기에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두광(頭光)과 신광(神光)을 지고 선 수월관음이 관음보살을 예배하는 선재동자(善財童子)를 내려다보고 있다.

 

머리에는 아미타불이 묘사된 보관(寶冠)을 썼으며,

 왼손에는 정병(淨甁)을 들고 오른손에는 버들가지를 잡고 있다.

얼굴은 넓으며, 목은 굵고, 넓은 어깨가 강건함을 느끼게 한다.

주위에 물결을 묘사하여 바다 위에 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하였으며,

 천의(天衣) 자락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이러한 모습이 화면 전체에 표현된 파도의 곡선과 더불어

긴장감과 생동감을 불러일으킨다.

보통 선재동자의 모습은 작은 동자의 모습이지만

여기에서는 승복을 입은 노비구(老比丘)의 모습이다.

무릎을 꿇고 합장하는 자세에서 구도자의 모습, 간구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후불벽화에 관한전설은 극락보전 건립 후

어느 날 노승 한사람이 사찰을 찾아와 벽화를 그리겠다며

100일동안 법당분을 열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99일째 되던 날 궁금증이 많은 한 승려가

창살을 통해 법당안을 들여다보자

 한 마리의 새가 입에 붓을 물고 날아다니며

그림을 그리고 있다 날아가 버렸다고 전해지고 있다.

 

현존 후불벽화 중 가장 오래된 무위사 후불벽화는

관음보살의 눈동자가 그려지지 못한 미완성의 그림으로 남아있다.

 

 

 

극락전내에 아미타삼존불 뒷면으로 돌아가면 벽면에 모셔져 있다.

 

명부전에서 본 극락전

 

단청을 하지 않은 극락정 문살

수많은 세월이 지나고

비바람이 지나갔을 극락전의 문...

조용히 문앞을 서성이다...발길을 옮긴다.

 

 

관세음보살의 어깨의 파랑새를 만나지 못하는 속세의 사람이지만

그래도 절집만 만나면 시간을 끌며 잠시 머물고자 하는 나의 모습...

불전에 잠시...그림자라도 남겨 본다.

극락전 앞에서...

 

 

 

보존각(성보박물관)

 

 

보존각과(성보박물관) 삼층석탑

 

 

 

       

      무위사 아미타내영도無爲寺阿彌陀來迎圖  

 

1476년(성종 7년) 작. 흙벽에 채색.

원래는 극락전(極樂殿)의 서측 벽면에 봉안되었다. 하지만 지금은 떼어 내서 새로 세운 보존각 안에 보호하고 있다.

 

이 벽화는 염불을 잘 행한 사람은 죽을 때나 수행이 성숙해지면 아미타불이 마중 와서 서방극락으로 맞이해 간다는 내용을

도상화(圖像化)한 아미타내영도이다. 아미타불과 8보살·8비구가 늘어선 독특한 배치 구도를 보이고 있다.

옆으로 긴 화면의 아래위에 묘사된 구름을 배경으로 아미타불과 관음보살(觀音菩薩)·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등 삼존불이 부각되어 있다.

그 옆에는 좌우에 각각 3보살과 그 위로 비구들이 그려져 있다.

 

본존인 아미타불은 오른쪽으로 몸을 향하여 나아가려는 자세로, 오른손은 앞으로 내밀어 뻗고 왼손은 들어서 엄지와 장지를 맞대고 있다.

마치 극락왕생자를 맞이하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 모양은 둥근 육계(肉髻)에 중앙 계주(中央髻珠)만 표현되었다.

사각형의 얼굴에 눈초리가 올라간 긴 눈, 구불구불한 옷자락의 표현 등은 고려 후기,

특히 14세기 불화의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군의(裙衣)를 묶은 띠 매듭이 법의 자락 앞에 대칭으로 늘어진 점은 조선 초기에 나타난 특징으로 보인다.

 

보관(寶冠)에 화불(化佛)과 보병(寶甁)을 뚜렷이 나타낸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은 각각 정병(淨甁)과 경함(經函)을 들고 있다.

치레 장식이 억제된 관음보살과는 달리 대세지보살은 무릎 부근을 구슬로 장식하는 등 화려한 모습이다.

드러나 있는 가슴 부근을 특징적인 띠로 둘러 가리고 있다.

이 밖의 보살들은 각기 특징적인 지물(持物)을 지니고 있다.

특히 지장보살(地藏菩薩)은 고려시대 크게 유행하던 두건(頭巾)을 쓰고 있는 모습으로

극락전 아미타삼존벽화의 지장보살과 비슷하게 묘사되었다.

보살들 위로 상체만 그려져 있는 8비구는 다양한 얼굴표정과 자세 등으로 이 그림에 활기를 주고 있다.

 

이 그림은 고려시대 경변상도(經變相圖)의 필선과 닮은 활달하고 구불구불한 필선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과감할 정도로 밝고 엷은 적색과 녹색 등 고려 불화의 양식이 짙게 나타나 있다.

반면에 화면에 나한(羅漢)이 등장하는 등 세부 묘사에서 조선 초기의 새로운 양식이 함께 표현되어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예가 드문 조선 초기 불화 가운데 하나로, 작가의 뛰어난 기량이 유감 없이 발휘된 걸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보존각(성보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아미타내영도

 

 

 

 

 

노거수와 어우러진 종무소

 

 

종무소 풍경

 

 

 

명부전과 요사채

 

 

 

명부전과 요사채

 

 

명부전冥府殿

 

 저승의 유명계(幽冥界)를 상징하는 사찰 당우 중 하나.

 

유명계의 심판관인 시왕(十王)을 봉안하고 있으므로 시왕전(十王殿)이라고도 하며,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주불(主佛)로 봉안하고 있으므로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한다.

 

원래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그날로부터 49일까지는 7일마다,

그 뒤에는 100일·소상(小祥)·대상(大祥)까지 열 번에 걸쳐 각 왕에게 살아 있을 때 지은 선악의 업을 심판받게 된다고 하여

죽은 사람의 명복을 위하여 절에서 재(齋)를 모시게 된다.

 

이 때 명부전에서 재를 모시게 되는 까닭은,

지장보살의 자비를 빌려 시왕의 인도 아래 저승의 길을 벗어나 좋은 곳에서 태어나게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명부전에 봉안하는 후불탱화는 소재회상도(消災會上圖)로, 지장보살 뒤에는 지장탱화를 봉안하고 시왕 뒤편에는 명부시왕탱화를 봉안한다.

 

궁극적으로 이 명부전은 지장신앙과 명부시왕신앙이 결합되어 불교적으로 전개된 법당이다.

명부의 시왕은 일차적으로 불교의 수호신으로 신중신앙(神衆信仰)에 속해 있었지만,

나중에 시왕이 지니고 있던 원래의 모습인 명부 심판관의 성격이 다시 강조됨에 따라 독립된 것이 명부전이다.

우리 나라 사찰에서는 매월 일정한 날에 명부전에서 지장제(地藏祭)를 지내고 있다.

명부전은 일반적으로 대웅전을 향하여 우측 편에 위치하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傳燈寺)의 명부전과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禪雲寺)의 명부전을 들 수 있다.

 

명부전 내부

법당에는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을 협시(脇侍)로 봉안하고 있다.

 

그리고 그 좌우에 명부시왕상을 안치하며, 시왕상 앞에는 시봉을 드는 동자상 10구를 안치한다.

이 밖에도 판관(判官) 2구, 녹사(錄事) 2구, 문 입구에 장군(將軍) 2구 등 모두 29개의 존상(尊像)을 갖추게 된다.

이들 중 주존불인 지장보살은 불교의 구원의 이상을 상징하는 자비로운 보살로

모든 인간이 구원을 받을 때까지 자신은 부처가 되는 것을 미루겠다는 대원을 세웠고,

 

천상에서 지옥에 이르는 육도(六道)의 중생을 낱낱이 교화시켜 성불하도록 하는 역할을 맡았기 때문에,

명부전은 조상의 천도를 위한 근본 도량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시왕은 지옥에서 죽은 자가 지은 죄의 경중을 가리는 10명의 왕이며,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지옥의 왕이라고 생각하는 염라대왕도 이 10명의 지옥왕 가운데 다섯번째 왕이다.

 

명부전옆 요사채

스님들의 선방이라 들어갈수는 없지만

절집의 구석구석이 모두 궁금하다...

 

 

산신각과 미륵전

극락전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미륵전(彌勒殿)

무위사에는 미륵전이 있다.

 

미륵전(彌勒殿) 이란?

미륵전(彌勒殿), 용화전(龍華殿)이라고 일컫는다.

미륵 부처님이나 미륵 보살을 모신 불전인데, 다음 세상에 메시아로 강림하는 미륵 부처님을 모실 때는 용화전이라고 하고

도솔천에 있는 미륵존을 모실 경우에는 미륵전이라고 부르지만 대개 미륵전으로 통하기도 한다.

미륵전은 미래의 부처님인 미륵불을 모신 법당의 이름이다.

이 미륵전은 미륵불에 의해 정화되고 펼쳐지는 새로운 불국토 용화세계를 상징한다고도 하여 용화전(籠華殿)이라고도 한다.

또는 미륵의 한문 의역(意譯)인 자씨를 취하여 자씨전(慈氏殿)이라고도 부른다.

 미륵보살은 인도의 바라나시국의 바라문 집안에서 태어나 석가모니 부처님의 교화를 받으며 수도하였고,

 석가모니 부처님에 의해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은 뒤 도솔천(兜率天)에 올라가 현재 천인(天人)을 위하여 설법 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직 성불을 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네 가지 일(四事) 즉 국토를 정화하고 수호하며, 중생을 정화하고, 중생을 수호하기 위해서이다.

 

무위사의 미륵전은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 수암마을에 방치된 불상을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봉안하기 위하여 세운 건물이다.

석재기단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고 둥근 기둥을 세워 만든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미륵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석불은 자연석에 부조(浮彫)로 새겨 모셨다.

 이마 위의 육계와 머리형태가 마치 여성의 올림머리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어 일반적인 불상의 형식에서 많이 벗어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불신(佛身) 주변에 화염문 광배를 선각한 점이나

목의 삼도와 수인 등에서 여래(如來)임을 알 수 있다.

부숭부숭한 눈두덩에 입술이 두껍고 인중이 짧으며 왼쪽 어깨는 움츠린 듯 좁게 표현되어 있다.

 

 원래 이 석불은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 수암마을에 방치된 채 있었는데

마을 독지가들에 의해 무위사로 옮겨온 것이라 한다.

현재 하단부가 마루바닥 밑으로 들어가 있어 정확한 크기는 알 수 없으나 마루까지, 218cm이다.

 

산신각

다른 전각의 편액과 달리

산신각의 편액은

월출산을 넘어가는 달빛처럼 가볍다.

 

 

산신각 내부

 

 

나한전

 

나한전

 석가모니를 주불로 하여 좌우에 석가모니의 제자 가운데 아라한과를 얻은 성자들을 봉안한다.

500나한상을 모신 오백나한전과 16나한상을 모신 응진전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백나한이 중생에게 복을 주고 소원을 성취해 준다고 믿어 많은 나한전이 생기게 되었다.

 

무위사 나한전에는 특이하게 석불좌성이 모셔져 있다.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

보물 제507호

 

 

 

1969년 6월 16일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약 2.35m, 너비 1.12m.
무위사 극락보전 서쪽 약 30m에 위치하는데 돌로 쌓은 담장 안에 남향으로 있다.

귀부(龜趺)·비좌(碑座)·비신(碑身)·이수(首) 등을 다 갖춘 전통적 양식의 비이다.


귀부의 두부(頭部)는 양 뿔을 뚜렷이 조각한 용머리이며, 여의주를 물고 있는 입은 투조(透彫)로 되었다. 거북의 등에는 6각갑(六角甲)무늬를 양각하고 비좌의 앞뒤 2면에는 보운(寶雲)무늬,

양 측면에는 안상(眼象)을 각각 양각·음각으로 새겼다.

이수에는 3단의 층급형(層級形) 받침을 새겨 겹송이 연꽃무늬를 장식하였다.

비제(碑題)는 ‘高麗國故無爲岬寺先覺大師遍光靈塔碑銘 幷序’라고 시작하여

지은이 최언휘(崔彦)와 쓴이 유훈율(柳勳律)의 성명을 기록하였다.

 각부의 조각기법은 당대의 다른 비석에 비하여 사실(寫實)의 경향을 띠어 조각예술로서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여기에 새겨진 글자의 크기는 2cm이고 해서체(楷書體)이다.

 

 

 

 

삼층석탑과..뒷편 천불전

발길을 서두르느라

뒷편 천불전을 깜빡하고 그냥 지나쳤다...

 

 

삼층석탑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76호

 

 

무위사 삼층석탑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76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무위사의 선각대사 편광탑비(946년) 바로 앞에 있다.

조성연대는 탑비와 같은 시대인 고려 초기로 추측된다.

전형적인 2층기단의 3층석탑으로 각 부재가 잘 조화되고 균제된 석탑이다.


지대석은 수매의 장대석으로 결구하였고, 그 위에 각형 2단의 괴임대와 하층기단의 중석이 연결되어 있다.

각구를 2구로 나누어 중앙에는 탱주 1주와, 양면에는 모서리 기둥을 모각하였다. 모서리 기둥과 탱주 사이에는 안상이 정교하게 조각되었다.
하대 갑석은 3매의 판석으로 결구되어 있다.

하면에 엷은 1단의 부연(附椽)을 각출하고, 상면도 역시 1단 각형 괴임대를 조각하여 탑신부를 받고 있다.

상층 기단중석은 4매 판석으로 각면에는 모서리 기둥이 정연하다.

동서면에 벽판석이고, 남북면에는 2매 판석으로 결구하였다. 각면에 새겨진 면상은 그 조식이 정교하여 세련되었다.

옥개석은 상면의 낙수면이 평박하고, 처마의 곡선도 중앙에서 직선을 이루다가 우동의 합각에 이르러서는 가볍게 반전되었다.

 처마의 하면은 수평이며, 층급받침은 각층 4단이다.

지붕돌 상면의 중앙에서는 1단의 각형 괴임을 각출하여 상층의 몸체를 받고 있으며,

상륜부에는 노반·복발·구륜·보주가 완전하게 남아 있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 1석씩으로 탑신에는 양면에

우주가 모각되고, 2∼3층에서는 높이를 줄여 체감되었다.

3층 지붕돌과 1층 지붕돌 일부에서 약간의 파손을 입었을 뿐이다.

그 외의 부재에서는 완전한 상태로 비교적 통일신라의 전형양식을 충실히 고수하고 있다.  

 

 

 

 

보제루 오른쪽 '청화당'

겨울초입....남녁의 절집에 아직도 지지 않은 단풍이 있다.

 

극락전에서 바라본 풍경

보제루 오른쪽의 요사채 '청화당'과 '범종각'이다.

청화당은 스님의 선방이다.

 

종각

법당의 규모도 작고

종각의 규모도 작다.

단청을 근래에 한것처럼 느껴진다.

하늘을 오를듯한 범종각의 지붕이 희망차게 느껴진다.

 

 

 

종무소앞 나무에 세워진 기왓장 그림...

글쎄....이 모꼬...

여기 왜 왔다가노...

 

보제루에서 바라본 사천왕문과 일주문

급하게 휘익 둘러보고 절집을 나선다

절집을 위해서 여행을 온것이 아니라

여행길에 잠시 바쁜걸음으로 만나는 부처님

살아온 세월이 허겁지겁이니

부처님을 만나는 일도 이렇게 늘 허겁지겁이다

천천히....마음을 온전히 풀어놓고 통곡하듯 부처님을 만나는 날이 있길 간절히 원한다.

 

.

.

.

.

이름도 몰랐던 무위사

길위에서 바쁘게 마주하고 가던길을 재촉하기 위해서

절집을 빠져 나간다.

돌아와 편집을 하다보니

좀더 꼼꼼히 살펴보지 못함이 못내 아쉽다

아쉬움은 그리움을 남기는 법...

언젠가는 그리움을 되새기러 그자리에 다시 서 있겠지

2015.12.12. 토...전남강진의 무위사.

 

'photostory-寺'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5.15. 일요일 칠갑산 장곡사  (0) 2016.05.15
2015.12.6. 부처의 나라 불국사  (0) 2016.01.14
2015.11.29. 밀양 표충사  (0) 2015.11.29
2015.11.7. 강화 전등사 (傳燈寺 )  (0) 2015.11.07
2015.10.3. 제천 정방사  (0) 2015.10.03